'부동산 시장 동향 및 정책 변화'
최근 서울 부동산 시장은 정부의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 전환과 대출 규제 강화로 인해 혼란
과거와 현재의 가격 상승률을 비교하며, 해당 지역 및 정책의 변화가 미치는 영향은?
▶ 거래량 감소와 가격 상승
- '시장 현황': 거래량은 감소했지만 매매가격은 여전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대치동 아파트의 매매가격은 토허제 시행 후 2년간 23.8% 상승하여,
오히려 시행 전 2년보다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 '다양한 지역별 상승률'
- '잠실' : 규제 후 22.5% 상승
- '청담동' : 19.8% 상승
- '삼성동' : 18.7% 상승
- '대치동' : 35.9% 상승
이 모든 지역에서 재개발 및 재건축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가격 상승이 가속화.
신한투자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거래 경직성과 시장 안정화 정책의 부작용이 컸다는 의견이 있다고 합니다.
▶ 대출 규제와 시장 혼란
- '대출 중단': 대출 문턱을 낮췄던 주요 은행들이 대출 중단을 선언하면서, 계약자들이 심각한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세 보증금을 이용해 잔금을 납부하려던 계약자들은 큰 어려움에 처해 있다는 점이 강조됩니다.
- '계약자들의 불안': 노원구 상계동의 중개업소에서는 잔금을 마련하지 못한 매수자들이 많아, 계약을 포기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는 새로운 매수자와 기존 계약자 모두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정부의 정책 변경
- '허가구역 확대': 정부는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및 용산구를 포함하여 아파트 2,200개 단지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주택 가격 상승을 막기 위한 목적입니다.
- '시장 반응': 정책 발표 이후 에이전트들은 급히 계약을 마무리하는 가운데, 집을 팔려는 집주인과 매수세가 증가하여
시장은 혼잡해졌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매물이 거래되고 있습니다.
▶ 향후 전망
- '거래 위축 예측': 전문가들은 대출 규제 강화로 인해 실수요자들조차 주택 구입을 미루거나 포기하는 사태가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한, 비허가구역에 대한 청약이 많아지며 가격 상승이 염려되는 상황입니다.
저 같으면 9월까지 관망하겠습니다. ^_^
'부동산인사이트 > 부동산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토지거래허가제 - 인접 기존 아파트를 보는것도? (0) | 2025.03.27 |
---|---|
자양동 4동 주택재개발 사업 (0) | 2025.03.25 |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 시장의 영향 (0) | 2025.03.22 |
토지거래허가제 확대 -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한달만에.... (0) | 2025.03.20 |
광진구 아파트를 살때는 성격파악도 해준다고?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