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편으로가기 ☜ 클릭
[ 목차 ]
주택연금 목차
1. 주택연금의 기본 개념 및 필요성
- 주택연금 정의
- 주택연금 필요성
- 한국 사회에서의 주택연금의 유용성
- 가입 방법과 지원 기관
2. 주택연금 가입 조건
- 연령 조건
- 주택 가격 기준
- 실거주 요건
3. 연금 수령액 결정 요인 및 시기
- 가입 시점의 주택 시세와 연령에 따른 연금액 변동
- 주택 시세와 연금액의 한도
4. 연금 수령 방식 및 특징
- 종신 연금형
- 다른 수령 방식(확정 기간형, 우대형 등)
5. 주택담보대출과 주택연금
- 대출이 있는 경우의 가입 가능 여부
- 대출 상환과 연금 지급 구조
6. 주택 가격 변동과 상속
- 집값 상승과 연금액의 관계
- 집값 하락과 상환 의무
7. 세금 및 건강보험료
- 소득세 부과 여부
- 건강보험료에 미치는 영향
8. 이자 및 보증료
- 담보대출로서의 이자 발생
- 보증료 및 유지 비용
9. 주택연금 가입의 가장 큰 걸림돌
- 자녀의 상속 기대감
- 부모와 자녀 간의 경제적 부담
1. 주택연금의 기본 개념 및 필요성
[주택연금은 평생 자신이 거주하는 집을 담보로 매월 연금을 지급받는 제도]
▶ 목표 : 지금 살고 있는 집에 평생 살고 싶은데 연금이 준비 안 됐다? 주택 연금을 받아서 죽을때까지 살면 됩니다.
▶ 기간 : 평생을 줍니다. 평생 부부 중에서 누가 먼저 돌아가시 상관없음.
▶ 장점 : 한국 사회는 부동산 자산 편중이 높아 노후 준비가 부족한 사람들에게 주택연금이 매우 유용한 선택지.
▶ 내용 : 주택연금은 국가가 지원하는 주택금융공사를 통해 가입 가능함.
(주택금융)공사라고 하게 되면 국가가 지원하는 기관, 서민들을 위해서 국가가 지원하는 제도.
일정의 세금도 투입
2. 주택연금 가입 조건
▶ 연령 : 부부 중 한 명이라도 만 55세 이상이어야 함.
▶ 주택 가격 : 공시 가격 기준으로 12억 원 이하의 주택
다주택자의 경우 - 합산 공시 가격이 12억 원 이내이고 실제 거주하는 주택으로 가입 가능.
▶ 실거주 : 반드시 실제 거주하는 주택.
투자 목적의 주택이나 월세를 주는 주택으로는 가입할 수 없습니다.
3. 연금 수령액 결정 요인 및 시기
▶ 가입 시점 : 주택 시세(지급 기준)와 가입자의 연령에 따라 달라집니다.
늦게 가입할수록 월 수령액이 증가합니다.
● 예 : 실제 주택 연금하는 금액을 비교
70세에 가입하면 집값 1억당 월 30만 원
65세에 가입하면 집값 1억당 25만 원
60세에 가입한다 집값 1억당 20만 원
▶ 내용 : 60세 이전 가입하면 더 떨어져서 일찍 가입할수록 한 번 받는 금액이 낮아지고
그걸 평생 받게 되는 것이고 늦게 가입할수록 한 번 받는 금액이 높아짐
공시 가격이 12억 원 이내라도 시세가 그 이상인 주택으로 가입할 수 있지만,
연금액은 일정 한도 이상 증가하지 않음.
10억 원 초과 주택의 경우 연금액 증가폭이 미미합니다.
공시 가격 12억 원이라 얘기는 시세는 그거보다 훨씬 높죠 14억 ~ 16억이 될수도 있음.
그런데 그런 10억 넘어가는 집을 가입해 봐야 연금액이 더 올라가지 않습니다.
12억 언저리가 딱입니다. (2025년 기준)
4. 연금 수령 방식 및 특징
▶ 종신 연금형 : 대부분의 가입자가 선택하는 방식으로, 평생 동안 동일한 금액을 지급.
2024년 가입자중 60~ 70% 이상은 대부분 다 종신형
▶ 확정 기간형, 증여형 등
종신형 외에도 확정된 기간 동안 받거나, 일부 금액을 먼저 인출하는 방식 등 다양한 선택지가 있습니다.
▶ 우대형 주택연금
기초연금 수급자이면서 시세 2억 원 미만의 주택 소유자는 일반 주택연금보다 약 20% 더 많은 연금을 수령 가능
예 : 기초 연금 수급 자고 시세로 2억 원 미만의 주택에 살고 있으면 우대형 주택 연금 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연금보다 우대형 주택 연금은 한 20% 더 나옵니다.
▶ 부부 공동명의
부부 공동명의로 된 주택도 주택연금 가입이 가능하며, 부부 중 한 분이 먼저 사망하더라도
남은 배우자에게 동일한 금액이 평생 지급됩니다 (신탁 방식 가입 시).
예 : 부부끼리 공동 명이면 주택 경금 가입 가능. 두 분 중에서 누가 먼저 죽어도 상관없음.
두 분중 중에 최종 생존자에게 연금을 지급합니다
2편으로가기 ☜ 클릭
'부동산인사이트 > 부동산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아파트 가격 변동 및 자금 조달 방법 (0) | 2025.04.03 |
---|---|
주택연금이란 무엇인가? 장점과 단점 분석 - ② (0) | 2025.03.29 |
농림주택 일반인이 가능하다. (0) | 2025.03.27 |
서울시 토지거래허가제 - 인접 기존 아파트를 보는것도? (0) | 2025.03.27 |
자양동 4동 주택재개발 사업 (0)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