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서 | 대통령 | 재임 기간 | 출생일 | 사망일 | 비고 |
1대 | 이승만 | 1948년 7월 24일 - 1952년 8월 14일 | 1875년 3월 26일 | 1965년 07월 19일 | |
2대 | 1952년 8월 15일 - 1956년 8월 14일 | ||||
3대 | 1956년 8월 15일 - 1960년 4월 27일 | ||||
4대 | 윤보선 | 1960년 8월 12일 - 1962년 3월 22일 | 1897년 08월 26일 | 1990년 07월 18일 | |
5대 | 박정희 | 1963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 1917년 11월 14일 | 1979년 10월 26일 | |
6대 |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 ||||
7대 | 1971년 7월 1일 - 1972년 12월 26일 | ||||
8대 | 1972년 12월 27일 - 1978년 12월 26일 | ||||
9대 | 1978년 12월 27일 - 1979년 10월 26일 | ||||
10대 | 최규하 | 1979년 12월 06일 - 1980년 8월 16일 | 1919년 07월 16일 | 2006년 10월 22일 | |
11대 | 전두환 | 1980년 8월 27일 ~ 1981년 2월 25일 | 1931년 01월 18일 | 2021년 11월 23일 | |
12대 | 1981년 2월 25일 ~ 1988년 2월 24일 | ||||
13대 | 노태우 | 1988년 2월 25일 - 1993년 2월 24일 | 1932년 08월 17일 | 2021년 10월 26일 | |
14대 | 김영삼 | 1993년 2월 25일 - 1998년 2월 24일 | 1929년 01월 14일 | 2015년 11월 22일 | |
15대 | 김대중 | 1998년 2월 25일 - 2003년 2월 24일 | 1924년 01월 06일 | 2009년 08월 18일 | |
16대 | 노무현 | 2003년 2월 25일 - 2008년 2월 24일 | 1946년 09월 01일 | 2009년 05월 23일 | |
17대 | 이명박 | 2008년 2월 25일 - 2013년 2월 24일 | 1941년 12월 19일 | 생존 | |
18대 | 박근혜 | 2013년 2월 25일 - 2017년 3월 10일 | 1952년 02월 02일 | 생존 | 탄핵 |
19대 | 문재인 | 2017년 5월 10일 - 2022년 5월 9일 | 1953년 01월 24일 | 생존 | |
20대 | 윤석열 | 2022년 5월 10일 - 현재 | 1960년 12월 18일 | 생존 | 탄핵 |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 대한 모든 것
안녕하세요, 오늘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핵심인 대통령 선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대통령 선거는 국가의 리더를 선출하는 중요한 과정으로, 모든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민주주의의 축제입니다.
대통령 선거의 기본 사항
선거 주기
대한민국에서는 5년마다 대통령 선거가 실시됩니다. 이는 1987년 9차 개헌을 통해 직선제로 전환되면서 단임제로 확립되었습니다. 대통령의 임기는 5년 단임으로, 연임이 불가능합니다. 이는 장기 집권으로 인한 권력 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입니다.
선거 방식
대통령 선거는 직접 선거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유권자는 선거일에 투표소를 방문하여 후보자 중 한 명에게 직접 투표합니다. 이는 국민이 직접 국가의 최고 지도자를 선출하는 방식으로, 민주주의의 근본 원칙을 실현하는 과정입니다.
선거 연령 요건
- 후보자: 대통령 후보가 되기 위해서는 만 40세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국가의 최고 지도자로서 필요한 경험과 판단력을 갖추었다고 판단되는 연령 기준입니다.
- 유권자: 만 18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은 누구나 투표권을 가집니다. 과거에는 만 19세였으나, 2020년부터 선거 연령이 만 18세로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후보자 등록 과정
정당 추천과 무소속 출마
대통령 후보자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 정당 추천: 정당의 공천 과정을 거쳐 해당 정당의 대표 후보로 출마
- 무소속 출마: 정당의 추천 없이 개인 자격으로 출마
등록 요건
후보자 등록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선거권이 있는 유권자 3,000명 이상의 추천을 받아야 함
- 선거 보증금 납부 (3억원 상당, 일정 득표율에 따라 반환됨)
- 재산 신고 및 병역 사항 공개
- 선거관리위원회에서 요구하는 서류 제출
선거 과정의 특징
결선투표 제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1차 투표에서 어떤 후보도 과반수(50% 이상)를 득표하지 못할 경우, 상위 득표자 2명을 대상으로 결선투표를 실시합니다. 이는 당선자의 대표성과 정통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결선투표는 1차 투표 후 2주 이내에 실시됩니다.
선거일 지정
18대 대통령 탄핵 이후로는 선거일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상황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대통령 임기 만료 70일 전부터 40일 전 사이의 수요일에 실시되는 것이 관례입니다. 선거일은 국민적 참여를 최대화하기 위해 공휴일로 지정됩니다.
투표 방법과 관리
투표 방식
- 종이 투표: 현재까지 가장 보편적인 투표 방식으로, 투표용지에 기표하는 방식입니다.
- 전자 투표: 일부 지역에서 시범적으로 도입되고 있으며, 기술 발전에 따라 점차 확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재외국민 투표: 해외에 거주하는 대한민국 국민을 위한 투표소가 재외공관에 설치됩니다.
- 사전 투표: 선거일 이전에 미리 투표할 수 있는 제도로, 투표율 제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선거 관리
중앙선거관리위원회(중앙선관위)는 헌법기관으로서 선거 전반을 관리합니다.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선거 일정 관리 및 공고
- 후보자 등록 및 자격 심사
- 선거 운동 관리 및 위반 사항 단속
- 투표 및 개표 관리
- 선거 결과 확인 및 발표
공정한 선거를 위한 규정
선거 운동 제한
- 선거 운동 기간: 후보자 등록 후부터 선거일 전날까지
- 인터넷과 SNS를 통한 선거 운동 규정
- 여론조사 결과 공표 제한 기간(선거일 6일 전부터)
- 선거 비용 상한선 설정
투명성 확보
- 선거 비용 공개 및 감사
- 정당 및 후보자 재산 공개
- 후보자 토론회 의무화
- 공정한 언론 보도 가이드라인
https://www.opencheongwadae.kr/mps
청와대, 국민 품으로
청와대, 국민 품으로
www.opencheongwadae.kr
'라이프&트렌드 > 트렌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대선 후보 명단 (0) | 2025.04.07 |
---|---|
스무트-홀리 법 : 보호무역 정책, 보복관세 (0) | 2025.04.07 |
여의도 벚꽃 축제 일정 2025: 놓치지 마세요! (0) | 2025.04.02 |
췌장암 위험 요인 예방법요인 예방법 (0) | 2025.04.02 |
헌법 재판소의 통합진보당 해산 결정 - 2014년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