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투자

관세와 환율 관계 : 트럼프 시대

RAPHAEL KO 2025. 4. 1. 10:55
728x90
반응형
SMALL

관세와 환율의 관계: 트럼프 시대의 경제 파장

안녕하세요! 오늘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환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기 쉽게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1470원대로 급등했는데, 그 배경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환율 변동

 

트럼프 대통령은 2025년 1월, 캐나다와 멕시코의 모든 수입품에 25%(석유·천연가스는 10%),

 

중국에는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이에 상대국들은 미국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고, 캐나다와 중국은

 

세계무역기구(WTO)에 미국을 제소하겠다는 의사까지 밝혔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원-달러 환율은 1월 13일 이후 최고치인 1472.5원까지 치솟았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멕시코의 관세 인상 시점을 한 달 유예한다고 발표하자, 환율은 곧바로 하락했습니다.

 

반응형

관세와 환율의 상관관계

관세와 환율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까요? 간단히 설명하자면:

  1. 관세 인상 → 물가 상승

    미국이 관세를 인상하면, 수입품에 '관세인상분'만큼의 가격이 추가되어 미국 내 물가가 상승합니다.
  2. 물가 상승 → 금리 인상 가능성

    인플레이션이 불어닥치면 미 연준(Fed)은 이를 잡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을 고려하게 됩니다.

  3. 금리 인상 → 달러 강세

    미국의 금리가 오르면 투자자들은 더 높은 수익을 찾아 미국 시장으로 돈을 옮기게 되고, 이는 달러 강세로 이어집니다.

  4. 달러 강세 → 다른 통화 약세

    달러가 강해지면 한국·캐나다·멕시코 등 다른 나라의 통화는 상대적으로 약해지며, 결과적으로 환율이 상승합니다.

트럼프발 관세 전쟁의 위험성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이전에도 우리나라에 타격을 준 적이 있습니다.

 

2018년 트럼프 1기 정부가 한국의 일부 품목에 관세를 부과했을 때,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증시에서 대거 이탈했고, 코스피 지수가 23.2%나 하락했습니다.

 

현재 상황도 안심하기 어렵습니다. 중국에는 이미 10% 관세 인상 조치가 시행되었고,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연합(EU)과 영국 등 다른 나라들에도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예고했습니다.

 

728x90

 

달러화의 미래 전망

트럼프 당선 이후 달러 인덱스는 급등했지만, 향후 달러화의 향방은

 

트럼프 행정부 2기의 정책 노선에 달려 있습니다.

 

시장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모든 관세 계획을 한꺼번에 시행할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습니다.

 

 

중요한 변수는:

  • 관세가 실제로 얼마나 부과되는지
  • 언제 시행되는지
  • 교역 상대국들이 어떻게 대응하는지

특히, 중국은 과거에도 위안화 평가절하를 통해 관세 충격을 상쇄한 바 있어, 이번에도 비슷한 대응이 예상됩니다.

 

결론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 어떤 양상으로 전개될지, 우리나라가 이를 잘 대응할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할 문제입니다.

 

최상목 부총리는 "우리 경제와 기업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가용 수단을 총동원해 대응하겠다"고 밝혔지만, 컨트롤타워가 없는 상황은 큰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행보와 글로벌 시장의 반응을 지속적으로 주시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